맨위로가기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은 강원도 원주 흥법사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팔각원당형 승탑이다. 신라 문성왕 6년(844)에 건립되었으며, 탑골공원과 경복궁을 거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있다. 기단부, 탑신부, 옥개석, 상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하대석의 사자상, 탑신부의 목조 건축 양식 표현, 사천왕상 조각 등이 특징적이다. 현존하는 팔각원당형 사리탑 중 가장 오래된 형식으로, 이후 팔각원당형 탑에 영향을 주었으며 통일신라 불교 조각의 수준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44년 작품 -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
    경주 남산 창림사지에 있는 창림사지 삼층석탑은 2중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신라 석탑 양식으로, 탑신과 기단부의 팔부신중상이 예술성이 뛰어나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9세기 전반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 신라의 승탑 - 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
    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은 9세기경 통일신라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리탑으로, 바닥돌 안상과 몸돌 윗부분의 십이지신상이 특징이며 능묘 의례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 신라의 승탑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은 전라남도 화순군 쌍봉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석탑으로, 철감선사 도윤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뛰어난 조각 솜씨와 균형 잡힌 구조를 자랑한다.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은 김대성이 발원하여 조성된 불상으로, 이상적인 비례와 사실적인 옷 주름, 아미타정인 중 상품하생인의 수인, 주형 광배와 연화대좌를 갖추고 있으며, 명문을 통해 8세기 신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은 7세기 신라 시대에 제작된 높이 약 93cm의 금동 반가사유상으로, 삼산관을 쓰고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조각 기법과 깊은 사색에 잠긴 얼굴 표현이 특징이다.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영문 이름Stupa of Buddhist Monk Yeomgeo from Heungbeopsa Temple Site, Wonju (Presumed)
지정 번호국보 제104호
지정일1962년 12월 20일
시대남북국 시대, 문성왕 6년(844년)
소유자국유
소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참고 사항규모·양식 : 높이 1.7미터, 재료 : 화강암
문화재청 ID11,01040000,11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2. 역사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은 본래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터에 있었다고 전해지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 여러 차례 이전되었는데, 1914년에 탑골공원으로 옮겨진 것은 확실하며, 경복궁 뜰을 거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자리 잡고 있다.

탑을 옮겨 세울 때 그 안에서 금동탑지(金銅塔誌)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신라 문성왕 6년(844)에 이 탑을 세웠음을 알게 되었다. 이 금동탑지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1. 건립 및 이전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은 본래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터에 있었다고 전해지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 여러 차례 이전되었는데, 1914년에 탑골공원으로 옮겨진 것은 확실하며, 경복궁 뜰을 거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자리 잡고 있다.

탑을 옮겨 세울 때 그 안에서 금동탑지(金銅塔誌)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신라 문성왕 6년(844)에 이 탑을 세웠음을 알게 되었다. 이 금동탑지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2. 염거화상

염거 화상(? ~ 844년)은 구산선문의 하나인 가지산문(迦智山門)의 개조(開祖) 도의(道義)의 제자이다. 설악산 억성사(億聖寺)에 머물며 을 널리 알리는 데 힘썼다. 체징(體澄, 804년 ~ 880년)에게 그 맥을 전하여 가지산문이 크게 융성하게 되는 터전을 마련하였다.

3. 구조

모든 부재의 평면이 팔각을 이루는 팔각원당형 승탑이다. 기단부, 탑신부, 옥개석, 상륜부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 아래에는 사각형 지대석이 있으나 나중에 만들어 넣은 것이다.

기단은 상·중·하대석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대석에는 각 면에 사자를 양각으로 새겼는데 모두 자세가 다르다. 하대석 윗면에는 중대석을 받치는 3단의 괴임이 있다. 중대석에는 안상을 새기고 연·향로·화문 등을 새겼는데, 특히 연은 연좌·보개·보주·화문 등이 장식되어 화려하다. 상대석은 아래 위의 두 면으로 구성되었는데, 아랫면에 팔각으로 된 각형 받침을 내어 윗면에 마련한 중대석의 괴임대와 대칭을 이루게 하였다. 아랫면의 옆은 앙련을 이중으로 마련하여 매우 화려하다. 윗면에는 가장자리에 둥근 괴임을 돌리고, 그 중앙에 다시 2단의 괴임을 두었다.

상대석과 탑신부 사이에는 별도로 만든 낮은 형태의 팔각 괴임돌을 넣었는데, 각 면에 안상을 새기고 그 안에 연화좌 위에 앉아 있는 천부상을 새겨넣었다.

사리를 모셔둔 탑신은 목조 건축을 그대로 형상화하였기 때문에 지붕 등에서 깊게 패인 기왓골, 기와의 끝마다 새겨진 막새기와의 모양, 밑면의 서까래 등 목조 건축의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다. 탑신 각 면 좌우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우주를 새겼으며, 앞과 뒷면에 문비를 새기고 그 안에 자물쇠와 문고리 두 개씩을 양각하였다. 또한 문비 양쪽에는 각각 사천왕을 새겨 옹호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머리 뒤로 두광을 갖추고 갑옷을 입었으며 무기를 손에 쥔 사천왕상은 매우 사실적이다.

탑신 위에 놓인 옥개석은 밑면에 1단의 각형 받침을 새기고, 그 위 처마 아래에는 비천상을 한 면씩 건너서 네 면에 새겼다. 옥개 윗면은 우동형을 표시하고, 우동 끝에 잡상을 배치하였던 흔적이 남아 있다. 처마 아래 낙수면에는 기왓골을 나타내었다.

옥개석 윗면에는 팔각으로 높다랗게 각형 괴임을 마련하여 상륜부를 받도록 하였다. 현재 상륜부는 하나도 남아 있지 않지만, 1920년대에 촬영한 사진을 보면 옥개석 위에 복발 1석과 보륜 2석으로 된 상륜부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1. 전체 구조

모든 부재의 평면이 팔각을 이루는 팔각원당형 승탑이다. 기단부, 탑신부, 옥개석, 상륜부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 아래에는 사각형 지대석이 있으나 나중에 만들어 넣은 것이다.

기단은 상·중·하대석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대석에는 각 면에 사자를 양각으로 새겼는데 모두 자세가 다르다. 하대석 윗면에는 중대석을 받치는 3단의 괴임이 있다. 중대석에는 안상을 새기고 연·향로·화문 등을 새겼는데, 특히 연은 연좌·보개·보주·화문 등이 장식되어 화려하다. 상대석은 아래 위의 두 면으로 구성되었는데, 아랫면에 팔각으로 된 각형 받침을 내어 윗면에 마련한 중대석의 괴임대와 대칭을 이루게 하였다. 아랫면의 옆은 앙련을 이중으로 마련하여 매우 화려하다. 윗면에는 가장자리에 둥근 괴임을 돌리고, 그 중앙에 다시 2단의 괴임을 두었다.

상대석과 탑신부 사이에는 별도로 만든 낮은 형태의 팔각 괴임돌을 넣었는데, 각 면에 안상을 새기고 그 안에 연화좌 위에 앉아 있는 천부상을 새겨넣었다.

사리를 모셔둔 탑신은 목조 건축을 그대로 형상화하였기 때문에 지붕 등에서 깊게 패인 기왓골, 기와의 끝마다 새겨진 막새기와의 모양, 밑면의 서까래 등 목조 건축의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다. 탑신 각 면 좌우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우주를 새겼으며, 앞과 뒷면에 문비를 새기고 그 안에 자물쇠와 문고리 두 개씩을 양각하였다. 또한 문비 양쪽에는 각각 사천왕을 새겨 옹호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머리 뒤로 두광을 갖추고 갑옷을 입었으며 무기를 손에 쥔 사천왕상은 매우 사실적이다.

탑신 위에 놓인 옥개석은 밑면에 1단의 각형 받침을 새기고, 그 위 처마 아래에는 비천상을 한 면씩 건너서 네 면에 새겼다. 옥개 윗면은 우동형을 표시하고, 우동 끝에 잡상을 배치하였던 흔적이 남아 있다. 처마 아래 낙수면에는 기왓골을 나타내었다.

옥개석 윗면에는 팔각으로 높다랗게 각형 괴임을 마련하여 상륜부를 받도록 하였다. 현재 상륜부는 하나도 남아 있지 않지만, 1920년대에 촬영한 사진을 보면 옥개석 위에 복발 1석과 보륜 2석으로 된 상륜부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2. 기단부

기단은 상·중·하대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대석에는 각 면에 자세가 다른 사자(獅子)를 양각으로 새겼고, 윗면에는 중대석을 받치는 3단의 괴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소 낮게 보이는 중대석에는 안상(眼象)을 새기고 연(輦)·향로·화문(花紋) 등을 새겼는데, 특히 연은 연좌(蓮座)·보개(寶蓋)·보주(寶珠)·화문 등이 장식되어 화려하다. 상대석은 아래, 윗면 두 면으로 구성되었는데, 아랫면에는 팔각으로 된 각형(角形) 받침을 내어 윗면 중대석의 괴임대와 대칭을 이루게 하였다. 아랫면 옆은 앙련(仰蓮)을 이중으로 조성하여 화려함을 더했다. 윗면 가장자리에는 둥근 괴임을 돌리고, 중앙에 2단 괴임을 두었다.

상대석과 탑신부 사이에는 별도로 만든 낮은 팔각 괴임돌을 넣었는데, 각 면에 안상을 새기고 그 안에 연화좌 위에 앉아 있는 천부상(天部像)을 새겨넣었다.

3. 3. 탑신부

사리를 모셔둔 탑신은 목조 건축을 그대로 형상화하였기 때문에 지붕, 깊게 패인 기왓골, 기와 끝마다 새겨진 막새기와, 밑면의 서까래 등 목조 건축의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다. 탑신 각 면 좌우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우주를 새겼으며, 앞, 뒷면에 문비를 새기고 그 안에 자물쇠와 문고리 두 개씩을 양각하였다. 또한 문비 양쪽에는 각각 사천왕을 새겨 옹호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머리 뒤로 두광을 갖추고 갑옷을 입었으며 무기를 손에 쥔 사천왕상은 매우 사실적이다.

3. 4. 옥개석

옥개석 밑면에는 1단 각형 받침을 새기고, 그 위 처마 아래에는 비천상을 한 면씩 건너 네 면에 새겼다. 옥개 윗면은 우동형을 표시하고, 우동 끝에 잡상을 배치하였던 흔적이 남아 있다. 처마 아래 낙수면에는 기왓골을 나타내었다.

3. 5. 상륜부

옥개석 윗면에는 팔각으로 높다랗게 각형 괴임을 마련하여 상륜부를 받도록 하였다. 현재 상륜부는 하나도 남아 있지 않지만, 1920년대에 촬영한 사진을 보면 옥개석 위에 복발 1석과 보륜 2석으로 된 상륜부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의의와 평가

이 탑은 이른바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이라 하는 것으로 현재 전하는 사리탑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이후 대부분의 팔각원당형 사리탑이 이 양식을 따르고 있어 그 최초의 작품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비록 다른 팔각원당형 부도에 비하여 규모는 크지 않으나 전체적으로 우아한 기품과 소박한 조각 솜씨를 보이고 있으며 세부의 조각도 아릅답다. 통일신라 불교 조각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